분류 전체보기27 ■ [ 신경계 - 신경 ] 신경 Neurology 신경은 무엇일까요? 신경을 무엇이라 정의하시겠습니까? 정보전달? 인식? 어찌 정의할 수 있을지 오늘 같이 공부해보도록 합시다. ■ 신경 Neurology A. 신경의 분류 신경계통은 크게 중추신경계(CNS, central nervous system)와 말초신경계(PNS, peripheral nervous system)로 나뉩니다. 그리고 중추신경계는 다시 머리뼈 속에 있는 뇌(brain)와 척주관 속에 있는 척수(spinal cord)로 나뉩니다. 말초신경계는 체성신경계(SNS, somatic nervous system)(감각신경, 운동신경)와 자율신경계(ANS, autonomic nervous system)로 나뉩니다. 중추신경계는 몸의 각 부분에서 오는 감각정보를 수용하고 처리합니다. 그리고 수용된 .. 2020. 4. 19. ◆ [ 본초학 - 감초 ] 감초(甘草)의 효능과 특징 약방의 감초. 많이들 들어보셨죠? 감초는 조화제약(調和諸藥)의 효능이 있습니다. 조화는 조화롭게 한다고 이해하시면 되고, 제는 모두 '제'에 약은 약입니다. 모든 약을 조화롭게 하는 효능이 있기에 감초는 한약 처방에 많이 사용됩니다. 오늘은 감초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 감초 (甘草, Glycyrrhizae Radix et Rhizoma, Glycyrrhiza uralensis) *라틴어 해설 Glycyrrhiza -> 그리스어인 glykys(달다) + rhiza(根, 근)의 합성어입니다. 이 식물의 약용인 뿌리가 달기 때문에 명명되었습니다. A. 감초(甘草) - 보익약(補益藥)[보기약補氣藥] 보익약에는 보기약, 보양약, 보혈약, 보음약 4가지 종류의 약이 존재합니다. 인체의 기혈(氣血)과 음양(陰陽).. 2020. 4. 15. ▣ [ 약이야기 - 양약 ] 3편 비마약성 진통제 -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NSAIDs) 오늘은 비마약성 진통제를 세 번째로 소개하는 시간입니다. 처음 포스팅에는 Salicylates류, 그중에 아스피린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드렸고, 두 번째 시간에는 Acetaminophen을 설명드리면서 흔히 진통제로 많이 복용하는 타이레놀에 대해 설명드렸습니다! 기억할 점은 아스피린 같은 경우 COX-1, COX-2를 저해하여 소염, 진통 외에 부작용으로 위장관, 즉 소화기관에 부작용이 있다는 점을 말씀드렸습니다. 타이레놀은 아스피린에 민감한, 즉 소화기관에 민감한 분들에게 추천할 약입니다. 이때 주의해야 할 점은 간을 무리하게 혹사시킬 경우 간독성이 생길 수 있으므로 알코올 복용이나 지방간이 있으신 분들은 주의해야 한다 말씀드렸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NSAIDs 약물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어떤 기전.. 2020. 4. 13. ▣ [ 약이야기 - 양약 ] 2편 비마약성 진통제 - 아세트아미노펜 Acetaminophen 비마약성 진통제는 전문 의사의 처방 없이 일반 약국에서 일반약(OTC-over the counter drug)으로 판매되고 있고, 유용하며 많은 사람들이 찾고 있습니다. 유용하며 많이 찾을수록 이 약에 대해 아는 것이 중요한 만큼 어떤 기전을 가지고 있고, 부작용은 어떤 것이 있는지 알고 있어야 합니다. 오늘 이번 시간에는 저번시간 Salicylates류, 즉 아스피린에 대해 중점적으로 알아봤는데요. 이번에는 Acetaminophen아세트아미노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이 들어간 유명한 약은 타이레놀이 있는데요. 어떤 작용기전과 부작용이 있는지 조심해야 할 점은 무엇인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아세트아미노펜 Acetaminophen 파라세타몰(Paracetamol)로도 불리는.. 2020. 4. 12. 이전 1 2 3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