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7 ■ [비뇨기계 - 신장] 신장의 구조와 기능 ■ 신장(Kidney, 腎臟)의 구조와 기능 A. 신장(Kidney)의 구조 1. 신장의 위치 신장은 복막 뒤에 좌우 한 쌍으로 위치한 강낭콩 모양의 장기입니다. 크기는 길이 약 10cm, 너비 약 5cm, 두께 약 3cm이며 무게는 대략 100~150g 입니다. 열두 번째 등뼈(제 11~12흉추)에서 세 번째 허리뼈(제 3요추)의 높이에 있고, 오른쪽 신장의 경우 간 바로 아래에 있기 때문에 왼쪽 신장보다 2~3cm 아래쪽에 있습니다. 신장 위에는 부신이 위치하며, 신장과 부신은 치밀결합조직인 피막으로 각각 싸여 있습니다. 2. 신장의 구조의 단위 신장단위는 신장을 구성하는 최소의 기능 단위를 말합니다. 이를 네프론(Nephron)이라 합니다. 1개의 신장 단위는 사구체와 사구체주머니(보먼주머니, Bo.. 2020. 3. 29. ■ [소화기계 - 간] 간기능 검사 - 빌리루빈(Bilirubin) ■ 간(liver, 肝) 검사 - 빌리루빈 평소에 간이 좋지 않았다면 동네 근처 내과를 방문하셔서 검사를 받으셨을 것 입니다. 간검사를 하게 될 경우 어떤 검사를 하게 될까요? 빌리루빈 검사를 할 수도 있고, ALT/AST 검사를 할 수도 있죠? 그 밖에도 알부민, 총 단백질, GGT (감마글루타밀전이효소), 젖산탈수효소 (LDH), 프로트롬빈시간(PT)이 있습니다. 오늘은 저번 포스팅에서 간에 대해 설명드렸고, 이어서 오늘은 간 검사 중 일부인 빌리루빈에 대해 설명드릴려고 해요. 왜 빌리루빈을 통해 간의 기능을 검사할 수 있을지 설명드리겠습니다. A. 빌리루빈 (Bilirubin) 1. 빌리루빈이란? 빌리루빈은 대부분이 적혈구 성분인 헤모글로빈(hemoglobin)의 대사물입니다. 어떻게 빌리루빈이 대.. 2020. 3. 28. ■ [소화기계 - 간] 간의 구조와 간기능 ■ 간(Liver, 肝)의 구조와 기능 A. 간의 해부적 구조 간은 인체에서 가장 큰 기관으로 무게는 약 1~1.5kg입니다. 오른쪽 횡격막 아래에 위치하며 늑골의 보호를 받고 있고, 위(胃)를 덮고 있습니다. 간 내에서는 횡격막과 접하고 있는 머리 쪽 등면의 일부를 제외하고 대부분이 복막으로 덮여 있습니다. 간은 크게 좌엽과 우엽으로 나뉘며 우엽이 좌엽보다 훨씬 크고 두꺼우며 인체에서 물질대사를 비롯한 매우 다양한 생체 기능을 담당하고 있어 세포들이 기능적으로 잘 발달되어 있습니다. 간의 우엽과 좌엽은 해부학적으로는 간겸상인대(ligamentum falciforme hepatis, 간낫인대)에 의해 구분되지만 기능적으로는 칸틀리선(Cantlie line)에 의해 나누어집니다. 칸틀리선은 하대정맥과 담낭.. 2020. 3. 27. 이전 1 ···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