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7

◈ [ 자연치유 - 아유르베다 ] 1. 아유르베다(Ayurveda)란 무엇인가? 자연치유에 대한 소개글로 무엇을 쓸까 고민하다 체질에 관심이 생겼고, 그중 오래전부터 관심이 있었던 아유르베다(ayurveda)에 대해 공부하게 되어 그와 관련된 내용을 포스팅하면 좋을 것 같아 이렇게 포스팅하게 되었습니다. 자연치유는 우리가 알고 있는 몸의 항상성, 면역력이라 이해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현대의학은 전체를 보기보단 생리학과 첨단기기를 바탕으로 미세한 영역에 초점을 두고 사람을 치료합니다. 하지만 여전히 치료가 불가능한 병증이 많고, 미병(未病)인 상태를 정확히 판단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에 현대의학의 보완적 개념으로 전승된 의학을 결합하여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노력이 지속되고 있었습니다. 그중에 대표적인 것이 인도의 아유르베다입니다. 이외에도 아로마테라피(Aromathera.. 2020. 4. 2.
◆ [본초학 - 포공영] 민들레/포공영 효능과 특징 ◆ 포공영 (蒲公英, 민들레, Taraxaci Herba) * 라틴어 해설 Taraxacum -> 민들레의 페르시아어 tarashaun에서 유래하였습니다. A. 포공영(蒲公英) - 청열약淸熱藥 (청열해독약淸熱解毒藥) - 맛과 성질 : 쓴맛(苦), 단맛(甘), 차가움(寒) - 귀경 : 간(肝), 위(胃) - 청열해독(淸熱解毒), 이뇨통림(利尿通淋) 열독 병증의 열을 내리고 독을 없애는 효능이 있습니다. 또 울체되어 뭉친 것을 풀어주고 소변을 잘 나오게 하는 효능이 있습니다. ⦁주치 : 급성유선염, 임파선염, 헌데가 생겨 부은 곳 혹은 헌데의 독, 급성결막염, 감기 때문에 열이 나는 증상, 요로감염에 사용합니다. ⦁기원 : 민들레 Taraxacum platycarpum, 흰민들레 T. coreanum, 서양.. 2020. 4. 1.
◆ [본초학 - 갈근] 갈근葛根(칡) 효능과 특징 ◆ 갈근(葛根, 칡, Puerariae Radix, Puerariae lobata) *라틴어 해설 Pueraria -> 스위스의 식물학자 M. N. Puerari(1765~1845)에서 유래하였습니다. A. 갈근(葛根) - 해표약(解表藥) (발산풍열약發散風熱藥) 해표약에는 찬 성질 혹은 따뜻한 성질을 이용해 몸 표면(表)에 있는 사기(邪氣;몸에 좋지 않은 기운 정도로 이해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를 날려버리는 약들이 있습니다. 발산풍열약(發散風熱藥)이라 하여 따뜻한 걸로 착각하기 쉬우나, 차가운 약재임을 놓치지 않아야 합니다. 해표약의 다른 하나는 발산풍한약(發散風寒藥)이 있습니다. - 맛과 성질 : 단 맛(甘), 매운맛(辛), 서늘함(凉) - 귀경 : 비(脾), 위(胃) - 발표해기(發表解肌), 투발.. 2020. 3. 31.
◆ [본초학 - 쑥] 본초에 나온 쑥 정리 (애엽/청호/인진호) ◆ 쑥 (Artemisa) *라틴어 풀이 Artemisia -> 쑥의 옛 이름인 artemisia로부터 유래하였습니다. 그리스 신화 여신이름 Artemis(아르테미스)로부터 나왔기 때문에 쑥이 부인병에 효과가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아르테미스는 참고로 그리스 신화의 사냥, 달, 숲, 처녀성을 대표하는 여신이었습니다. 구분 애엽(艾葉) 청호(菁蒿) 인진호(茵蔯蒿) 쑥 황해쑥, 약쑥, 산쑥, 쑥 사철쑥 개똥쑥 사용 부위 잎 지상부 지상부 본초 분류 지혈약(止血藥) (온경지혈) 이수삼습약(利水滲濕藥) (이수퇴황약) 청열약(淸熱藥) (청허열약) A. 애엽(艾葉) - 황해쑥 : 지혈약(온경지혈약) - 맛과 성질 : 매운맛(辛), 쓴맛(苦), 따뜻함(溫) - 귀경 : 간(肝), 비(脾), 신(腎) - 온경지혈(溫經止.. 2020. 3.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