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초학 - 포공영] 민들레/포공영 효능과 특징
◆ 포공영 (蒲公英, 민들레, Taraxaci Herba) * 라틴어 해설 Taraxacum -> 민들레의 페르시아어 tarashaun에서 유래하였습니다. A. 포공영(蒲公英) - 청열약淸熱藥 (청열해독약淸熱解毒藥) - 맛과 성질 : 쓴맛(苦), 단맛(甘), 차가움(寒) - 귀경 : 간(肝), 위(胃) - 청열해독(淸熱解毒), 이뇨통림(利尿通淋) 열독 병증의 열을 내리고 독을 없애는 효능이 있습니다. 또 울체되어 뭉친 것을 풀어주고 소변을 잘 나오게 하는 효능이 있습니다. ⦁주치 : 급성유선염, 임파선염, 헌데가 생겨 부은 곳 혹은 헌데의 독, 급성결막염, 감기 때문에 열이 나는 증상, 요로감염에 사용합니다. ⦁기원 : 민들레 Taraxacum platycarpum, 흰민들레 T. coreanum, 서양..
2020. 4. 1.
◆ [본초학 - 쑥] 본초에 나온 쑥 정리 (애엽/청호/인진호)
◆ 쑥 (Artemisa) *라틴어 풀이 Artemisia -> 쑥의 옛 이름인 artemisia로부터 유래하였습니다. 그리스 신화 여신이름 Artemis(아르테미스)로부터 나왔기 때문에 쑥이 부인병에 효과가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아르테미스는 참고로 그리스 신화의 사냥, 달, 숲, 처녀성을 대표하는 여신이었습니다. 구분 애엽(艾葉) 청호(菁蒿) 인진호(茵蔯蒿) 쑥 황해쑥, 약쑥, 산쑥, 쑥 사철쑥 개똥쑥 사용 부위 잎 지상부 지상부 본초 분류 지혈약(止血藥) (온경지혈) 이수삼습약(利水滲濕藥) (이수퇴황약) 청열약(淸熱藥) (청허열약) A. 애엽(艾葉) - 황해쑥 : 지혈약(온경지혈약) - 맛과 성질 : 매운맛(辛), 쓴맛(苦), 따뜻함(溫) - 귀경 : 간(肝), 비(脾), 신(腎) - 온경지혈(溫經止..
2020. 3.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