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7 ◆ [ 경락학 ] 경락(經絡)과 경혈(經穴) 경락과 경혈의 차이를 알고 계신가요? 그림처럼 경락 마사지를 체험해 보셨나요? 오늘은 경락과 경혈이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경락(經絡)과 경혈(經穴) A. 경혈(經穴) 1) 정의 인체의 경락수행 경로 상에 있는 부위로 한방에서 침을 놓거나 뜸을 뜨는 혈자리를 말합니다. 2) 경락의 의미 경락은 오장육부의 반응이 몸에 나타나는 경로를 말합니다. 이러한 경락에 있는 수혈(腧穴)을 수혈이라 합니다. 수혈이란 침을 놓거나 뜸을 뜨는 자리를 말하는데, 경락 위에 존재하는 수혈을 경혈이라 합니다. 3) 경혈의 발달 과정 경혈의 발달 과정은 크게 세 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번째 단계는 아픈 곳이 바로 혈이 되는 단계로, 일정한 경혈 혹은 취혈 방식이 없습니다. 이러한 혈을 우리는 아시혈(阿是穴)이라.. 2020. 5. 8. ◆ [ 본초학 - 고삼 ] 고삼(苦蔘)의 효능과 특징 ◆ 고삼(苦蔘, Sophorae Radix, Sophora flavescens) *라틴어 해설 : Sophora flavescens -> Linne(린네)가 나비 모양을 가진 어떤 나무를 지칭하던 아라비아어 sophora를 전용하였습니다. A. 고삼(苦蔘) ; 도둑놈의 지팡이의 뿌리 - 청열약(淸熱藥) [청열조습약(淸熱燥濕藥)] ⦁ 효능 : 청열조습(淸熱燥濕), 살충이뇨(殺蟲利尿) - 열을 없애는 것, 맛이 쓰고 성질이 조한 약으로 중초의 습사(濕邪)를 없애고, 인체 내의 기생충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습니다. ⦁ 귀경 : 심(心) 간(肝) 위(胃) 대장(大腸) 방광(膀胱) ⦁ 맛과 성질 : 쓴맛(苦) 차가움(寒) ⦁ 기원 : 콩과(Leguminosae)에 속하는 고삼(Sophora flavescens)의 .. 2020. 5. 6. ■ [ 소화기계 - 간 ] 바이러스 간염 Viral hepatitis : VH 바이러스 간염은 이미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질환이 되었습니다. A형, B형, C형 등 여러 가지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간염 바이러스는 간암으로도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미리 각 바이러스 간염 별 특징을 알고 대처하는 것이 중요할 것입니다. 오늘은 이 바이러스 간염들의 특징과 증상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바이러스 간염 Viral hepatitis : VH A. 간염 바이러스의 분류 간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의 종류에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그중에 가장 특징적인 3가지 A형, B형, C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A형 B형 C형 핵산 RNA DNA RNA 감염경로(원인) - 구감염 (예:생굴, 오염된 조개젓) - 체액감염 (예:성교) - 혈액감염 (예:바늘에 찔림, 수혈) - .. 2020. 4. 28. ▣ [ 약이야기 - 자율신경계 작용 약물 ] 자율신경계 약물 작용 기전 자율신경계는 신경의 말초신경계 중 하나이며, 내장근의 작동을 조절합니다. 자율신경계에는 교감신경계와 부교감신경계가 존재하며, 이들은 서로 길항적으로 작용합니다. 이러한 자율신경계에 작용하는 약물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기 이전에 이들의 작용 기전을 알아보려 합니다. ▣ 자율신경계 약물 [ 작용 기전 ] 자율신경계는 많은 기관계를 사람의 의지와 관계없이 불수의적으로 제어합니다. 앞서 말씀드린 것과 같이 자율신경계는 교감신경계와 부교감신경계로 나뉘며, 일반적으로 한 신경계가 자극이 되면 다른 신경계는 억제가 됩니다. 교감신경계는 응급상황에 우리 몸을 보호하기 위한 방어 기전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교감신경계가 작동된다면 우리 몸은 심장이 빨라지고, 동공이 확장됩니다. 반대로 부교감신경이 작동되면 우리 .. 2020. 4. 20. 이전 1 2 3 4 5 ···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