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방

◆ [ 본초학 - 소화제 ] 한방소화제 - 산사/맥아/신국 의 효능과 특징

by 지니요 2020. 5. 25.

한방에서 소화제는 본초학을 기준으로 소도약(消導藥)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소도약이란 모든 음식물을 소화하고 적체(積滯)를 소적(消積)하는 약물이며 소식약(消食藥)이라고도 합니다. 소도약의 대표적인, 그리고 한방소화제 3대 약재인 산사, 맥아, 신곡(신국)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A. 산사(山査)

■ Crataegi Fructus (생약명)

Crataegus pinnatifida Bunge (학명)

 

*라틴어 해설 : Crataegus -> 가시가 많은 어떤 관목의 고대 그리스어인 Krataegos로부터 유래되었으며, kratos(힘) + agein(갖추다)의 합성어입니다. 이 식물의 목재가 굳고 단단합니다.

 

⦁기원 : 산사나무 Crataegus pinnatifida Bunge 및 그 변종 (장미과 Rosaceae)의 잘 익은 열매입니다.

⦁분포 : 우리나라 중부 이북지방의 산, 개울둑에 자생하거나 정원수로 식재합니다.

⦁형태 : 높이가 6m정도 자랍니다. 잎은 어긋나면서 관난형 또는 끝이 뾰족한 난형이고 2~4쌍이 깃꼴로 갈라져 있습니다. 가장 밑에 있는 1쌍의 열편은 비교적 깊게 갈라져 있고 잎 가장자리에는 불규칙한 작은 톱니가 있습니다. 산방 꽃차례에는 부드러운 털이 있고 꽃은 흰색입니다. 열매는 핵과로 공 모양에 가깝고 직경이 1~1.5cm이며, 붉게 익고 백색의 작은 반점이 있습니다.

⦁채취 : 가을철에 성숙한 열매를 채취해 가로로 잘라 두 조각으로 만들어 햇볕에 말립니다.

⦁귀경 : 脾 胃 肝

⦁성미 : 酸 甘 微溫

⦁효능 : 소식화적(消食化積) 활혈산어(活血散瘀)

옹저나 상처가 부은 것을 삭아 없어지게 하고 정체된 것을 풀어주는 효능, 적체된 기를 소통하여 어혈을 제거합니다.

⦁주요성분 : Crataegolic acid, 비타민 C

⦁대표약리

(1) 소화액분비촉진작용

- crataegolic acid 등은 위액 및 췌장액의 분비를 촉진합니다.

(2) 항세균작용

(3) 순환계에 대한 작용

- 혈관확장에 의한 혈압강하작용이 있습니다.

- 관상동맥기능부전과 같은 심장질환에 유효합니다.

(4) 지질저하효과

- 지질저하 작용의 기전은 PPARα의 발현증가와 관련 있습니다. 또한 ACAT(acylCoA)의 효소 활성 억제도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와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어 있습니다.

⦁응용 : 지사, 소화, 구어혈, 진정약에 쓰이며 어체에 의한 흉복통, 오로부지, 고혈압, 고지혈, 혈액순환 장애에도 사용됩니다.

 

*주로 육류소화에 적합합니다.


B. 맥아麥芽 (엿기름)

 

■ Hordei Fructus Germinatus (생약명)

Hordeum vulgare L. var. hexastichon (학명) -> 엿기름

 

*라틴어 해설 : Hordeum -> 보리의 고대 라틴어인 hordeum에서 유래하였다.

 

⦁기원 : 보리 Hordeum vulgare L. var. hexastichon Aschers (벼과 Gramineae)의 잘 익은 열매를 발아시킨 것입니다.

⦁분포 : 세계 각지에서 작물로서 재배 되는 월년초로서 세계 4위의 식량자원입니다.

⦁형태 : 60~100cm 정도로 자라고 줄기가 곧게 서며, 속이 비어 있습니다. 잎은 가늘고 길면서 털이 없으며, 양측에 꼬불꼬불한 갈고리모양의 엽이가 존재합니다. 잎혀는 작아서 길이가 1~2mm 정도이고, 엽편은 바소꼴입니다. 꽃차례는 수상꽃차례로 직립하고 길이가 4~10cm이며, 각 마디마다 3개의 발육된 작은 이삭이 달려 있습니다. 이삭의 길이는 약 2cm이고 자루가 없습니다.

⦁채취 : 4~5월에 채취해 발아시키는데, 배아의 길이가 약 5cm에 이를 때 햇볕에 말려 사용합니다.

⦁귀경 : 脾 胃 肝

⦁성미 : 甘 平

⦁효능 : 소식화중(消食和中) 회유(回乳)

위기(胃氣)를 조화롭게 하고, 수를 원활하게 빼는 효능(利水), 음식을 소화시키는 효능(消食), 젖이 돌게 하는 효능(回乳)이 있습니다.

⦁주요성분 : 효소류, 비타민류, 필수지방산

⦁대표약리

(1) 소화작용

- 소화효소를 함유하고 있어 탄수화물이나 단백질 식이의 소화를 돕습니다.

(2) 기타작용

- 중국에서는 유즙분비증(galactorrhea)에 맥아를 사용하여 왔는데, 이는 맥아 추출물이 prolactin의 분비를 억제하기 때문입니다.

⦁응용 : 소화, 건위약으로 소화불량, 식욕감퇴, 복부팽만 등에 쓴다. 민간에서는 젖을 삭히는 약으로 사용합니다.

⦁주의 및 부작용 : hordenine에는 약간의 교감신경유사작용이 있으므로 혈압이 높거나 monoamine oxidase억제제를 복용하고 있는 사람은 주의하여 사용하여야 합니다.

⦁금기 : 임부

 

*회유(回乳)의 뜻을 젖을 끊는 표현으로 쓰이는데, 혼돈해야 하지 말아야합니다. 회유는 젖을 돌게 한다는 것입니다. 맥아를 소량 사용할 경우 기를 적당히 돌게 하여 멈춰있던 젖이 분비되지만, 대량 사용하게 될 경우에는 기를 방대하게 돌게 하여 젖을 다 분비하고 멈추게 됩니다. 따라서 양에 따라 효과가 달라진다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대량에는 단유(斷乳), 소량에는 최유(催乳) 효능이 있습니다.


C. 신곡 神麯 (신국)

 

■ Massa Medicata Fermentata (생약명)

 

⦁기원 : 밀가루 또는 밀기울, 적소두(팥) 가루, 행인니(杏仁泥), 개똥쑥즙(菁蒿汁), 도꼬마리즙(蒼耳汁), 버들여뀌즙(野蓼汁) 등의 재료를 반죽하여 누룩같이 만들어 짚이나 마대 또는 삼잎으로 싸서 온실에서 발효시킨 것입니다.

 

⦁귀경 : 脾 胃

⦁성미 : 甘 辛 溫

⦁효능 : 소식화위(消食和胃)

위의 소화기능을 돕고, 성질이 따뜻하여 위한증(胃寒症)을 치료하는데 사용됩니다. 음식을 소화시키는 효능이 있고, 체한 것을 내려가게 하고 중초를 조화롭게 하는 효능이 있습니다.

⦁주요성분 : amylase, yeast, 비타민 B복합체

⦁금기 : 임산부는 유산의 위험이 있어서 복용을 삼가야 합니다. 비장의 음액이 부족하거나, 위에 화기가 심한 사람은 소량을 복용해야 합니다.

 

*곡식을 포함하여, 면류의 소화에 적합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