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양방

■ [ 신경계 - 신경 ] 신경 Neurology

by 지니요 2020. 4. 19.

  신경은 무엇일까요? 신경을 무엇이라 정의하시겠습니까? 정보전달? 인식? 어찌 정의할 수 있을지 오늘 같이 공부해보도록 합시다. 

■ 신경 Neurology

A. 신경의 분류

  신경계통은 크게 중추신경계(CNS, central nervous system)와 말초신경계(PNS, peripheral nervous system)로 나뉩니다. 그리고 중추신경계는 다시 머리뼈 속에 있는 뇌(brain)와 척주관 속에 있는 척수(spinal cord)로 나뉩니다. 말초신경계는 체성신경계(SNS, somatic nervous system)(감각신경, 운동신경)와 자율신경계(ANS, autonomic nervous system)로 나뉩니다.

  중추신경계는 몸의 각 부분에서 오는 감각정보를 수용하고 처리합니다. 그리고 수용된 결과를 바탕으로 온몸의 정보를 전달하고 명령을 내립니다. 말초신경계는 중추신경계와 몸의 각 부분을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말초신경계는 중추신경계의 명령을 몸의 각 근육으로 보내는 운동신경과 온몸의 피부와 감각기관에서 나온 정보를 중추신경계로 보내는 감각신경, 그리고 내장 기능을 관장하는 자율신경으로 구성됩니다.

> 중추신경계

  1. 뇌 : 대뇌(끝뇌), 간뇌(사이뇌), 중뇌(중간뇌), 연수(숨뇌), 소뇌로 나뉩니다. 사람은 다른 동물과 달리 대뇌가 크게 발달한 것이 특징입니다. 대뇌는 기억과 언어 등 사람의 고차원적인 기능을 수행합니다. 이외에 간뇌, 중뇌, 연수는 다양한 기능을 하는데 특히 생명 유지와 관련된 중요한 기능을 담당합니다.
  2. 척수 : 몸통과 팔다리의 감각 신호가 전달되고, 운동 명령이 전달되는 인체의 중심에 위치한 통로입니다. 이와 동시에 척수반사와 같은 비교적 단순한 정보도 처리됩니다. 

> 말초신경계

  1. 운동신경 : 증추신경계에서 받은 명령을 몸의 각 근육으로 보내는 신경입니다.
  2. 감각신경 : 온몸의 피부와 감각기관에서 나온 정보를 중추신경계로 보내는 신경입니다.
  3. 자율신경 : 내장 기능을 관장하는 신경입니다.

B. 중추신경계

  사람의 중추신경계는 뇌와 척수로 구성됩니다.

  뇌에는 뇌를 머리뼈에서 꺼내 겉으로 봤을 때 보이는 대부분의 뇌인 대뇌와 중뇌(중간뇌), 교뇌(다리뇌), 연수(숨뇌)로 이루어진 뇌간(뇌줄기), 그리고 소뇌로 이루어집니다. 대뇌 안쪽에는 간뇌(사이뇌)가 존재하며 간뇌에서 감각 정보를 통제하고 자율신경기능을 담당합니다. 대뇌는 감각과 사람의 의지로 조절되는 운동(수의운동)의 중추이자 언어, 창조성 등 가장 인간적인 기능을 관장합니다. 뇌간에 속하는 중뇌, 교뇌, 연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중뇌(중간뇌)는 간뇌와 연결되어 있으며 사람에게는 크게 발달되지 않은 영역입니다. 눈 운동을 지배하는 신경핵과 척추 외 계통의 신경핵등이 존재합니다. 교뇌(다리뇌)는 중뇌와 연수(숨뇌)를 연결합니다. 대뇌겉질에서 시작하는 운동정보를 소뇌로 보내 정밀한 운동을 할 수 있게 합니다. 연수(숨뇌)는 호흡과 혈관운동을 비롯해 생명 유지에 중요한 기능을 담당합니다. 교뇌 꼬리 쪽에 존재하며, 밑부분은 큰구멍(대후두공) 아래모서리에서 척수로 이어집니다. 소뇌는 교뇌와 연수로부터 받은 정보와 척수를 타고 올라온 고유감각을 바탕으로 자세 통제, 근육의 긴장 유지, 정밀한 운동 조절 등을 담당합니다.

  척수는 큰구멍(대후두공) 아래모서리에서 숨뇌로 이어지는 약 45cm의 끈 모양 조직으로, 척추뼈를 만드는 척주관 속에 들어 있습니다. 하단은 점점 좁아지며 1~2번 허리뼈 높이에서 원뿔 모양으로 끝납니다.

C. 말초신경계

  말초신경계는 감각신경과 운동신경으로 구성된 체성신경계와 몸의 내부적 기능을 담당하는 자율신경계로 나뉩니다.

  체성신경계의 경우 중추에서 보낸 운동을 골격근에 전달하는 운동신경과 몸의 말단에서 온 체내외 정보를 중추신경으로 전달하는 감각신경으로 이루어집니다. 

  자율신경계는 자율적이고 스스로 통제하며, 불수의적으로 움직입니다. 호흡, 순환, 대사, 체온, 소화, 분비, 생식 등 생명활동의 기본이 되는 항상성(homeostatsis)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자율신경계는 두 가지로 나뉩니다. 교감신경계와 부교감신경계가 그것입니다. 교감신경계는 우리 몸이 비상사태에 직면했을 때 빨리 대처할 수 있는 '응급 방어 기전'이라 할 수 있고, 부교감신경계는 '휴식과 소화체계'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교감신경계의 작용 부교감신경계의 작용
동공 확대 축소
심장 심근 수축력을 증가시킨다 수축력을 감소시킨다
관상동맥 확장(베타 수용체), 수축(알파 수용체)  
기관지 평활근 이완(기관지를 확장시킨다) 수축(기관지를 좁힌다)
기관지의 분비   분비를 증가시킨다
기관지 동맥 수축 확장
소화관 소화관벽의 근육 연동운동을 억제한다 연동운동을 항진시킨다
괄약근 수축 이완
혈관수축에 의해 분비를 감소시킨다 분비를 증가시킨다.

 

 

 

- 참고문헌 :

SIM 통합내과학 [ 신경 ] - 정담출판

뇌, 신경 구조 교과서 - 보누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