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7

■ 인바디(InBody) 검사 원리와 리딩 방법 흔히 병원이나 보건소 혹은 휘트니트센터를 가면 인바디(InBody) 검사 기계를 보게 됩니다. 자신의 비만 혹은 몸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측정하게 되는데, 오늘은 인바디 검사가 어떤 원리로 진행되고, 어떻게 읽어야 하는지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누구를 통해 듣는 것이 아니라 혼자서도 읽을 수 있습니다. ■ 인바디(InBody) 인바디가 체성분 분석기를 통칭하는 명칭으로 사용되면서 미세전류를 이용한 체성분 분석검사를 흔히 인바디 검사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인바디는 1996년 개발되었으며 세계 50개 국에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인바디는 병원, 피트니스센터에서 비만진단, 영양상담, 운동처방 시 활용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델도 출시되었습니다. -wikipedia(위키백과참고) 1. .. 2020. 7. 1.
◆ [ 본초학 - 소화제 ] 한방소화제 - 산사/맥아/신국 의 효능과 특징 한방에서 소화제는 본초학을 기준으로 소도약(消導藥)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소도약이란 모든 음식물을 소화하고 적체(積滯)를 소적(消積)하는 약물이며 소식약(消食藥)이라고도 합니다. 소도약의 대표적인, 그리고 한방소화제 3대 약재인 산사, 맥아, 신곡(신국)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A. 산사(山査) ■ Crataegi Fructus (생약명) Crataegus pinnatifida Bunge (학명) *라틴어 해설 : Crataegus -> 가시가 많은 어떤 관목의 고대 그리스어인 Krataegos로부터 유래되었으며, kratos(힘) + agein(갖추다)의 합성어입니다. 이 식물의 목재가 굳고 단단합니다. ⦁기원 : 산사나무 Crataegus pinnatifida Bunge 및 그 변종 (장미과 R.. 2020. 5. 25.
◆ [ 본초학 - 울금/강황/아출 ] 울금/강황/아출 특징 및 효능 비교 생강과(Zingiberaceae)에 속하는 울금(鬱金), 강황(薑黃), 아출(莪朮)은 그 생김새가 비슷하고, 효능이 비슷합니다. 이번 기회를 통해 차이점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Curcuma * 라틴어해설 : 아라비아어인 kurkum(황색)에서 유래하였습니다. 이 속 식물의 뿌리줄기가 모두 황색 색소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 울금(鬱金) Curcumae Radix 활혈거어약(活血祛瘀藥) ⦁기원 : 온울금 Curcuma wenyujin, 강황 C. longa, 광서아출 C. kwangsiensis, 또는 봉아출 C. phaeocaulis 의 덩이뿌리로서 그대로 또는 주피를 제거하고 쪄서 말린 것입니다. ⦁분포 : 인도 원산으로 인도부터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열대 및 아열대 지방에서 넓게 재배하고 있는 다.. 2020. 5. 14.
◆ [ 본초학 - 단삼 ] 단삼(丹蔘)의 효능과 특징 ◆ 단삼(丹蔘, Salviae Miltiorrhizae Radix, Salvia miltiorrhiza) *라틴어해설 Salvia miltiorrhiza -> 라틴어 salvare(치유하다)에서 유래하였는데, 몇몇 식물이 능히 질병을 치료할 수 있어서 이름을 정하였습니다. A. 단삼(丹蔘) 활혈거어약(活血祛瘀藥) - 혈의 운행을 순조롭게하여 몸에 쌓인 어혈을 제거하는 약들을 말합니다. ⦁ 효능 : 활혈거어(活血祛瘀) 량혈소옹(凉血消癰) 양혈안신(養血安神) 혈의 운행을 활발히 하고 담을 삭힘, 옹저나 상처가 부은 것을 삭아 없어지게 하고 통증을 없애고, 혈을 자양하여 심신을 안정시키는 효능이 있습니다. ⦁ 귀경 : 심(心) 간(肝) ⦁ 맛과 성질 : 쓴맛(苦) 약간 차가움(微寒) ⦁ 기원 : 단삼 Salv.. 2020. 5.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