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간(Liver, 肝)의 구조와 기능
A. 간의 해부적 구조
간은 인체에서 가장 큰 기관으로 무게는 약 1~1.5kg입니다. 오른쪽 횡격막 아래에 위치하며 늑골의 보호를 받고 있고, 위(胃)를 덮고 있습니다. 간 내에서는 횡격막과 접하고 있는 머리 쪽 등면의 일부를 제외하고 대부분이 복막으로 덮여 있습니다.
간은 크게 좌엽과 우엽으로 나뉘며 우엽이 좌엽보다 훨씬 크고 두꺼우며 인체에서 물질대사를 비롯한 매우 다양한 생체 기능을 담당하고 있어 세포들이 기능적으로 잘 발달되어 있습니다. 간의 우엽과 좌엽은 해부학적으로는 간겸상인대(ligamentum falciforme hepatis, 간낫인대)에 의해 구분되지만 기능적으로는 칸틀리선(Cantlie line)에 의해 나누어집니다. 칸틀리선은 하대정맥과 담낭(쓸개)을 연결하는 선으로 간의 구역 분류에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
1. 간엽 (Hepatic lobe)
간을 외부에서 보면, 세로로 균열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균열은 간을 좌우로 나누는데, 이것을 해부학적인 좌엽과 우엽입니다. 하지만 이 해부학적 좌엽, 우엽은 실제 임상에서 많이 사용되지 않습니다. 이보다 중요한 것은 혈액 분포로 분류한 좌엽과 우엽인데, 각각 기능적 좌엽과 우엽이라 합니다. 간으로 가는 혈액은 간문(porta hepatis)에서 문맥(portal v.)과 고유 간동맥(proper hepatic a.)의 두 줄기로 들어갑니다. 문맥과 고유 간동맥은 간으로 들어간 다음 좌우로 갈라져 각각 기능적 우엽과 좌엽에 영양을 공급합니다.
2. 간 문맥계(Hepatic portal system, 간에 출입하는 혈관)
간에 출입하는 혈관 및 관은 들어가는 것이 2개, 나오는 것이 2개입니다. 들어가는 것은 간문에서 오는 고유간동맥(proper hepatic a.)과 문맥(portal v.)입니다. 나오는 것 중 하나는 간문에서 나오는 간관(hepatic duct)이고, 또 하나는 등 쪽에서 나오는 간정맥(hepatic v.)입니다. 간문으로는 담관(bile duct), 동맥(hepatic a.), 문맥(portal v.) 세 줄기가 출입하게 됩니다.
B. 간의 기능
1. 간의 대사
소화관에서의 정맥 혈류는 직접 심장으로 가지 않고 간을 경유하게 됩니다. 그 이유는 간에서 소화관에서 흡수한 물질을 분류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소화관을 통해 흡수한 것은 당류, 아미노산, 그리고 방부제 성분, 약물 등입니다. 이들 물질은 문맥(portal v.)을 통해서 간으로 들어갑니다.
간으로 들어간 물질들은 쓸 것과 쓰지 않을 것으로 분류됩니다. 쓸 것은 다시 합성할 재료로 타당한지, 아니면 그냥 바로 저장할 것인지에 대한 분류를 하게 됩니다. 또 쓰지 않을 것은 담관으로 운반되어 소화관으로 다시 돌려보내지거나, 물에 녹기 쉽게 만들어져 신장을 통해 배설됩니다. 이렇게 분류하는 기능을 대사(metabolism)라고 합니다.
2. 더 자세히(분류 후)
간의 대사를 통해 쓸 것은 합성과 저장을 위해 보내지고, 쓰지 않을 것은 담즙 속으로 배설됩니다. 합성에서 중요한 것은 단백질, 지질, 담즙산이고, 저장에서 중요한 것은 당(glucose), 즉 글리코오스입니다.
간은 인체의 화학공장으로 불리며, 체내 대사의 중심입니다. 생물의 3대 영양소인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은 물론이고, 빌리루빈이나 비타민, 호르몬 등 다양한 물질들이 대사 됩니다.
간은 혈액에서 포도당을 흡수하여 간에서 이용하거나 혹은 글리코겐(glycogen)의 형태로 저장되어 혈당의 균형을 맞추게 됩니다. 혈액 속 혈당의 변화를 체크해 필요에 따라 혈액 속에 글리코겐을 포도당의 형태로 다시 공급하게 됩니다.
3. 간(liver, 肝)의 기능 정리
1) 쓸개즙 형성 - 합성
2) 글리코겐 형성과 저장 - 저장
3) 혈액응고인자 형성 - 합성
4) 혈장 단백질의 합성 - 합성
5) 요소 형성 - 배설
6) 해독작용 - 배설
- 참고문헌 : SIM 통합내과학(소화계) - 정담출판
PACIFIC GROSS ANATOMY - Pacific Books
'양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 [ 면역기계 - 면역 ] 알레르기(Allergy)의 개념 (0) | 2020.04.08 |
---|---|
■ [ 면역기계 - 면역 ] 면역 담당 물질(항체/보체/사이토카인) (0) | 2020.04.07 |
■ [ 면역기계 - 면역 ] 면역(免疫, immunity)의 기본개념 (0) | 2020.04.06 |
■ [비뇨기계 - 신장] 신장의 구조와 기능 (0) | 2020.03.29 |
■ [소화기계 - 간] 간기능 검사 - 빌리루빈(Bilirubin) (0) | 2020.03.28 |
댓글